임청각 3 - 정침 군자정에서 왼쪽 문을 열고 들어가면 내당(정침이라고 부른다)이 나온다. 내당은 남향으로 낙동강을 바라보고 있는데 '정침'이라고 부른다고 한다. ㄷ자형을 하고 있는데 이 글자의 모양이 음과 양의 조화를 상징하는 용(用)자형의 배치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. 아마도 내당 마당 가운데 있.. 여행기 2006.02.20
임청각 2 - 입구와 군자정 임청각은 중종 14년(1519년) 형조 좌랑을 지냈던 고성 이씨(固城李氏) 이명(李명)에 의해 세워졌다. 현재는 중앙선에 가려져 그 빛을 잃었으나 원래 99간 대가집이었다고 한다. 안동시내에서 안동댐을 가기 위해선 법흥교 앞을 지나야 한다. 이 법흥교 앞에 큰 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가 임청.. 여행기 2006.02.20
임청각 1 - 그 주변 임청각에 관한 한 유교문화권 역사체험 홈페이지(http://tour.koreastudy.or.kr)와 낮달님의 블로그(http://blog.daum.net/natdal)가 가장 추천할 만하다. 입춘첩에 관한 관심이 있거나 블로그 주인에게 관심을 표해야 할 경우에만 이 곳에서 계속 읽으시길... 임청각은 안동시내에서 안동댐을 가다 보조.. 여행기 2006.02.20
임청각의 입춘첩 2월 19일 입춘이 보름쯤 지난 우수날에 임청각에서 본 입춘첩이다. 하회마을의 양진당이나 충효당과는 달리 읽기 어려운 한자가 많아 해석이 되지 않는 내용이 많다. 아마도 나같은 상것들이 함부로 범접하지 못하도록 어려운 한자를 많이 쓴 모양이다. 식자제현(識者諸賢)의 도움으로 완.. 여행기 2006.02.19